「태평천하」 누군가의 태평천하
우리만 빼놓고 어서 망해라! 위기는 기회라는 말은 큰 힘이 된다. 지금의 역경을 딛고 일어서면, 더 나은 미래가 오리라는 희망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회’라는 말이 꼭 긍정의 변화를 내포하지 않는다는 점은…
[PEDA] 고교학점제, 낙관론과 비관론 사이에서
오는 2025년부터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새로운 제도의 추진이 그러하듯, 고교학점제를 둘러싼 목소리도 다양하게 나뉘고 있다. 누군가는 장밋빛 미래를 그리며 낙관론을 제시하고, 누군가는 제도의 미흡한 부분을 지적하며 비관론을 내놓는 상황이다.…
2022학년도 성균관대학교 학생부교과(학교장추천) 전형 분석 -2-
*이전 글과 연결됩니다* 4. 수능최저학력기준 인문계 국어, 수학, 사탐/과탐(2개 과목 평균-소수점 이하 버림) 중 2개 등급합 5 이내영어3등급・한국사 4등급 이내※탐구 2과목 중 1과목을 제2외국어/한문으로 대체 가능 자연계 국어, 수학, 과탐(2개…
영화 「나는보리」 장애는 극복해야 하는 문제일까
알 수 없는 보리의 소원 예쁜 바닷가 마을에 사는 열한 살 소녀 보리는 다정한 엄마와 아빠, 그리고 남동생 정우와 함께 살고 있다. 보리네 가족은 서로를 바라볼 땐 늘 맑게 웃는다.…
「말의 주인이 되는 시간」 한국어의 주인으로 살아가기
우리는 한국어의 주인인가 가끔 그런 상상을 해본다. 한국어 사용 능력을 시험 형태로 측정한다면, 생각보다 낮은 성적을 받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 그만큼 한국어와 한글은 어렵다. 짧지 않은 시간 동안 학생들에게 글쓰기를 교육해왔고…
2022학년도 성균관대학교 학생부교과(학교장추천) 전형 분석 -1-
2022학년도부터 성균관대학교 수시모집에서 학생부교과(학교장추천) 전형이 새롭게 실시된다. 전형의 명칭에서 두 가지 사항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 가지는 “교과성적(내신)이 좋아야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이라는 것이고, 다른 한 가지는 “학교장의 추천을…
[PEDA] 위드 코로나 시대, 위드 원격수업의 시대
코로나-19라는 예기치 못한 전염병의 대유행 속에서, 학교는 사상 처음으로 ‘원격 수업’을 진행하였다. 당연한 일상이었던 ‘등교’가 중지되자 학생과 교사, 학부모 모두가 혼란에 빠졌다. 학생들은 학교에 가는 대신 컴퓨터 앞에 앉았고 교사들은…
토머스 쿤의 「과학 혁명의 구조」
철학은 만학의 여왕이라 불렸었다. 그러나 근대에 이르러 철학의 지위는 흔들리기 시작했다. 근대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의 역사는 한 마디로 ‘상실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철학으로부터 만학의 여왕이라는 지위를 앗아가면서,…
「해리포터」 고전의 스테디 셀러, 사랑
처음 해리포터 시리즈를 접한 건 초등학생이었다. 빗자루를 타고 날아 다니며 마법 주문을 외우는 영국 소년은 그 자체로 판타지였고, 나와는 구분되는 전혀 다른 세상의 친구였다. 요즘 초등학생들은 해리포터를 원서로 읽는다고 하던데…
영화 「소공녀」 집과 행복의 상관관계
현대인에게 집은 어떤 의미일까. 단순한 휴식의 공간이라고 생각한다면 지나치게 순진한 대답일지 모른다. 대부분은 일생의 목표로 자신의 집을 마련하는 것을 꼽는가 하면, 어느 동네에 사는지에 따라 한 사람의 인생이 정의되는 일도…